
평가시험
연구개발 성과물의 기능성과 신뢰성을 입증하기 위한 객관적 성능 검증 시험
시험개요
정부·공공기관 또는 민간 기업이 추진하는 연구개발(R&D) 과제에서 도출된 기술·제품·시스템의 성능, 기능, 신뢰성 등을 객관적으로 검증하기 위한 시험
시험목적
- 개발 결과물의 기술적 완성도 확인 및 개선 사항 도출, 과제 보고서 제출 시 공신력 있는 시험 데이터 확보
- 정량적/정성적 수행 목표 달성을 위한 공인기관의 검증 시험 데이터 확보
- 상용화/사업화 단계 이전에 기술적 리스크를 사전에 파악하고 대응
핵심포인트
-
R&D 과제 검토
-
정량/정성적
내용 검토 -
시험항목 도출
-
시험항목 및
시험방법 제정 -
과제 평가기준 검토
-
근거 위주의
보고서 작성
시험절차
-
R&D 과제분석
01
-
시험항목도출
02
-
시험방법제정
03
-
현장시험
04
-
보고서작성 및 발급
05
-
R&D 과제분석
내용
- - R&D 수행 과제 검토
* 수행전/후에 따라 검토방향을 다르게 수립 - - 과제에서 요구하는 정량적 항목과 정성적 항목에 대해서 시험가능 여부를 파악
- - 사전에 제출했던 과제 계획서와 현재 개발수준을 검토
- - 보유장비 및 외부시험 항목에 대한 내용검토
중요 포인트
- - 특허 권리 범위에서 핵심요소 기술을 파악R&D 과제의 주요 검증항목과 목표에 대해서 정확하게 파악하여 시험가능여부를 검토
- - R&D과제특성상 시험이 가능한 장비와, 테스트베드 등에 대한 제약이 있을 수 있어 이를 검토하고 외부기관 협력필요 확인
결과물
‘분석결과 보고서’
(시험 전 전략수립) - - R&D 수행 과제 검토
-
시험항목 도출
내용
- - 정량적인 항목과, 정성적인 항목을 구분하고 크게 기능과 성능 측면에서 시험항목을 도출
- - 과제목표 이외에 별도에 시험검증이 필요한 사항을 전체적으로 검토하고 이를 시험항목으로 도출
- - 개발품에 대해서 사전 검토 및 미팅을 통해서 과제가 통과 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항목을 도출
중요 포인트
- - 과제에서 요구하는 시험항목에 대한 정확한 판단 필요
- - 사전 과제 계획서 또는 제출 예정 계획서에 기입된 검증방법에 대해서 정확하게 이해하고 이를 항목으로 도출
결과물
‘시험항목표’
(특허 적용검증을 위한 시험추진 항목) -
시험방법 제정
내용
- - 시험항목을 토대로 시험방법을 고객(업체)와 협의하고, 도출하여 의뢰자제시시험규격서를 제정
- - 시험현장, 교정계측기, 외부시험항목 등을 도출
- - 향후 시험결과가 재현성·객관성을 갖도록 시험절차방법, 횟수, 조건 등을 세분화하게 규정하여 제정
중요 포인트
- - 과제시험의 경우에는 사전계획서에 제출했던 검증방법을 최대한 반영하여 방법을 제정
- - 외부기관 또는 평가위원의 납득 할 수 있는 시험규격을 제정
결과물
‘의뢰자제시시험규격’
(시험항목에 따른 시험규격서 제정) -
현장시험
내용
- - 실제 환경(또는 시뮬레이션)에서 제품 동작 상태를 관찰·계측하고 여러번 검증하여 재현성을 확인
- - 구성요소별 정상 작동 여부, 요구사항 충족도 확인
- - 시험 결과(수치, 사진, 동영상 등) 기록 및 증빙 자료 수집
- - 시험조건, 구성, 외부연결 등을 확인하여 상세히 기록
중요 포인트
- - 시험 과정은 투명성과 재현성이 중요하므로, 모든 절차를 기록 (시험 환경, 날짜, 측정 장비 등)
- - 예상치 못한 변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유연한 대처 및 추가 측정 계획 수립 필요
결과물
‘현장시험 결과’
(보고서 작성전 다량의 값과 사진) -
보고서작성 및 발급
내용
- - 시험 결과를 분석해 특허 적용 사실을 종합적으로 판단
- - 구성요소별 시험 결과, 사진·도면 등 증빙 자료 첨부
* 향후 평가에 인용 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작성 - - 시험결과에 대한 근거 값을 명확하게 제시
- - 결론 및 필요 시 개선·추가 검토 사항 제시
중요 포인트
- - 최종 보고서는 객관적 증거로 활용되므로, 상세하고 명료한 결론을 제시
- - 분쟁 발생 시 법적 근거로 활용될 수 있으므로, 완결성 있게 작성
결과물
‘시험성적서(보고서)발급’
(증빙자료 활용)